Effect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Effect는 React 패러다임에서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입니다. Effect를 사용하면 React를 “벗어나” 컴포넌트를 React가 아닌 위젯, 네트워크, 또는 브라우저 DOM과 같은 외부 시스템과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외부 시스템이 관여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일부 props 또는 state가 변경될 때 컴포넌트의 state를 업데이트하려는 경우), Effect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불필요한 Effect를 제거하면 코드를 더 쉽게 따라갈 수 있고, 실행 속도가 빨라지며, 에러 발생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학습 내용
- 컴포넌트에서 불필요한 Effect를 제거하는 이유와 방법
- Effect 없이 값비싼 계산을 캐시하는 방법
- Effect 없이 컴포넌트 state를 초기화하고 조정하는 방법
- 이벤트 핸들러 간에 로직을 공유하는 방법
- 이벤트 핸들러로 이동해야 하는 로직
- 부모 컴포넌트에 변경 사항을 알리는 방법
불필요한 Effect를 제거하는 방법
Effect가 필요하지 않은 두 가지 일반적인 경우가 있습니다.
- 렌더링을 위해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 Effect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리스트를 표시하기 전에 필터링하고 싶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리스트가 변경될 때 state 변수를 업데이트하는 Effect를 작성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비효율적입니다. state를 업데이트할 때 React는 먼저 컴포넌트 함수를 호출해 화면에 표시될 내용을 계산합니다. 그런 다음 React는 이러한 변경 사항을 DOM에 “commit”하여 화면을 업데이트합니다. 그리고 나서 React가 Effect를 실행합니다. 만약 Effect도 즉시 state를 업데이트한다면 전체 프로세스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됩니다! 불필요한 렌더링 패스를 피하려면, 컴포넌트의 최상위 레벨에서 모든 데이터를 변환하세요. 그러면 props나 state가 변경될 때마다 해당 코드가 자동으로 다시 실행됩니다.
- 사용자 이벤트를 처리하는 데 Effect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api/buy
POST 요청을 전송하고 알림을 표시하고 싶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구매 버튼 클릭 이벤트 핸들러에서는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습니다. Effect가 실행될 때까지 사용자가 무엇을 했는지 (예: 어떤 버튼을 클릭 했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해당되는 이벤트 핸들러에서 사용자 이벤트를 처리합니다.
외부 시스템과 동기화하려면 Effect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jQuery 위젯이 React state와 동기화되도록 유지하는 Effect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Effect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검색 결과를 현재 검색 쿼리와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모던 프레임워크는 컴포넌트에 직접 Effect를 작성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내장 데이터 가져오기 메커니즘을 제공한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올바른 직관을 얻기 위해, 몇 가지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예를 살펴봅시다!
props 또는 state에 따라 state 업데이트하기
firstName
과 lastName
이라는 두 개의 state 변수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두 변수를 연결해서 fullName
을 계산하고 싶습니다. 또한 firstName
이나 lastName
이 변경될 때마다 fullName
이 업데이트되기를 바랍니다. 가장 먼저 fullName
state 변수를 추가하고 Effect에서 업데이트하고 싶을 것입니다.
function Form() {
const [firstName, setFirstName] = useState('Taylor');
const [lastName, setLastName] = useState('Swift');
// 🔴 피하세요: 중복된 state 및 불필요한 Effect
const [fullName, setFullName] = useState('');
useEffect(() => {
setFullName(firstName + ' ' + lastName);
}, [firstName, lastName]);
// ...
}
이는 필요 이상으로 복잡합니다. 또한 fullName
에 대한 오래된 값으로 전체 렌더링 패스를 수행한 다음, 업데이트된 값으로 즉시 다시 렌더링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state 변수와 Effect를 제거하세요.
function Form() {
const [firstName, setFirstName] = useState('Taylor');
const [lastName, setLastName] = useState('Swift');
// ✅ 좋습니다: 렌더링 중에 계산됨
const fullName = firstName + ' ' + lastName;
// ...
}
기존 props나 state에서 계산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면 , 그것을 state에 넣지 마세요. 대신, 렌더링 중에 계산하게 하세요. 이렇게 하면 코드가 더 빨라지고 (추가적인 “연속적인” 업데이트를 피할 수 있으며), 더 간단해지고 (일부 코드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에러가 덜 발생합니다(서로 다른 state 변수가 서로 동기화되지 않아 발생하는 버그를 피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이 생소하게 느껴진다면, React로 사고하기에서 무엇이 state에 들어가야 하는지 설명해 줄 것입니다.
비용이 많이 드는 계산 캐싱하기
이 컴포넌트는 props로 받은 todos
를 filter
prop에 따라 필터링하여 visibleTodos
를 계산합니다. 결과를 state에 저장하고 Effect에서 업데이트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function TodoList({ todos, filter }) {
const [newTodo, setNewTodo] = useState('');
// 🔴 피하세요: 중복된 state 및 불필요한 효과
const [visibleTodos, setVisibleTodos] = useState([]);
useEffect(() => {
setVisibleTodos(getFilteredTodos(todos, filter));
}, [todos, filter]);
// ...
}
앞의 예시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입니다. 먼저, state와 Effect를 제거합니다.
function TodoList({ todos, filter }) {
const [newTodo, setNewTodo] = useState('');
// ✅ getFilteredTodos()가 느리지 않다면 괜찮습니다.
const visibleTodos = getFilteredTodos(todos, filter);
// ...
}
보통, 이 코드는 괜찮습니다! 하지만 getFilteredTodos()
가 느리거나 todos
가 많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newTodo
와 같이 관련 없는 state 변수가 변경된 경우 getFilteredTodos()
를 다시 계산하고 싶지 않을 수 있습니다.
useMemo
Hook으로 래핑해서 값비싼 계산을 캐시(또는 “메모이제이션”) 할 수 있습니다.
import { useMemo,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TodoList({ todos, filter }) {
const [newTodo, setNewTodo] = useState('');
const visibleTodos = useMemo(() => {
// ✅ todos 또는 filter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시 실행되지 않습니다.
return getFilteredTodos(todos, filter);
}, [todos, filter]);
// ...
}
혹은 한 줄로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import { useMemo,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TodoList({ todos, filter }) {
const [newTodo, setNewTodo] = useState('');
// ✅ todos나 filter가 변경되지 않는 한 getFilteredTodos()를 다시 실행하지 않습니다.
const visibleTodos = useMemo(() => getFilteredTodos(todos, filter), [todos, filter]);
// ...
}
이렇게 하면 todos
나 filter
가 변경되지 않는 한 내부 함수가 다시 실행되지 않기를 원한다는 것을 React에게 알립니다. React는 초기 렌더링 중에 getFilteredTodos()
의 반환값을 기억합니다. 다음 렌더링 중에 todos
나 filter
가 다른지 확인합니다. 지난번과 동일하다면, useMemo
는 마지막으로 저장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만약 다르다면, React는 내부 함수를 다시 호출하고 그 결과를 저장합니다.
useMemo
로 감싸는 함수는 렌더링 중에 실행되므로, 순수한 계산에만 작동합니다.
자세히 살펴보기
일반적으로 수천 개의 객체를 만들거나 반복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 것입니다. 좀 더 확신을 얻고 싶다면 console log를 추가하여 코드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console.time('filter array');
const visibleTodos = getFilteredTodos(todos, filter);
console.timeEnd('filter array');
측정하려는 상호작용을 수행합니다(예: input에 입력하기). 그러면 filter array: 0.15ms
와 같은 로그가 console에 표시됩니다. 전체적으로 기록된 시간이 상당한 양(예: 1ms 이상)으로 합산되면 해당 계산을 메모이제이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다음 실험적으로 해당 계산을 useMemo
로 감싸서 해당 상호작용에 대해 총 로깅 시간이 감소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nsole.time('filter array');
const visibleTodos = useMemo(() => {
return getFilteredTodos(todos, filter); // todos와 filter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건너뜁니다
}, [todos, filter]);
console.timeEnd('filter array');
useMemo
는 첫 번째 렌더링을 더 빠르게 만들지 않습니다. 업데이트 시 불필요한 작업을 건너뛰는 데만 도움이 됩니다.
당신의 컴퓨터가 사용자의 컴퓨터보다 빠를 수 있으므로 인위적인 속도 저하로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Chrome은 이를 위해 CPU 스로틀링 옵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개발 중에 성능을 측정하는 것은 가장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예를 들어 Strict Mode를 켜면 각 컴포넌트가 한 번이 아닌 두 번 렌더링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시간을 얻으려면 프로덕션용 앱을 빌드하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과 같은 기기에서 테스트하세요.
prop 변경 시 모든 state 초기화
이 ProfilePage
컴포넌트는 userId
prop을 받습니다. 페이지는 댓글 입력을 포함하며 comment
state 변수를 사용해 해당 값을 보관합니다. 어느 날 한 프로필에서 다른 프로필로 이동할 때 comment
state가 재설정되지 않는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그 결과 실수로 잘못된 사용자의 프로필에 댓글을 게시하기 쉽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serId
가 변경될 때마다 comment
state 변수를 비우려고 합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ProfilePage({ userId }) {
const [comment, setComment] = useState('');
// 🔴 피하세요: Effect에서 prop 변경 시 state 초기화
useEffect(() => {
setComment('');
}, [userId]);
// ...
}
이는 비효율적인데 ProfilePage
와 그 자식이 오래된 값으로 처음 렌더링 한 다음 다시 렌더링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ProfilePage
내부에 어떤 state가 있는 모든 컴포넌트에서 이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복잡합니다. 예를 들어 댓글 UI가 중첩된 경우 중첩된 댓글 state도 비워야 합니다.
대신 명시적인 key를 전달하여 각 사용자의 프로필이 개념적으로 다른 프로필임을 React에 알릴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를 둘로 분할하고 외부 컴포넌트에서 내부 컴포넌트로 key
어트리뷰트를 전달하세요.
export default function ProfilePage({ userId }) {
return (
<Profile
userId={userId}
key={userId}
/>
);
}
function Profile({ userId }) {
// ✅ 이 state 및 아래의 다른 state는 key 변경 시 자동으로 재설정됩니다.
const [comment, setComment] = useState('');
// ...
}
일반적으로 React는 동일한 컴포넌트가 같은 위치에 렌더링 될 때 state를 보존합니다. Profile
컴포넌트에 userId
를 key
로 전달하면 React가 userId
가 다른 두 개의 Profile
컴포넌트를 state를 공유해서는 안 되는 두 개의 다른 컴포넌트로 취급하도록 요청하는 것입니다. userId
로 설정한 key가 변경될 때마다 React는 DOM을 다시 생성하고 Profile
컴포넌트와 그 모든 자식의 state를 재설정합니다. 이제 프로필 사이를 탐색할 때 comment
필드가 자동으로 비워집니다.
이 예시에서는 외부 ProfilePage
컴포넌트만 내보내 프로젝트의 다른 파일에 표시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ProfilePage
를 렌더링하는 컴포넌트는 key를 전달할 필요 없이 일반적인 prop로 userId
를 전달합니다. ProfilePage
가 이를 내부 Profile
컴포넌트에 key
로 전달한다는 사실은 구현 세부 사항입니다.
prop이 변경될 때 일부 state 조정하기
prop이 변경될 때 전체가 아닌 일부 state만 재설정하거나 조정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 List
컴포넌트는 items
목록을 prop으로 받고 selection
state 변수에 선택된 item을 유지합니다. items
prop이 다른 배열을 받을 때마다 selection
을 null
로 재설정하고 싶습니다.
function List({ items }) {
const [isReverse, setIsReverse] = useState(false);
const [selection, setSelection] = useState(null);
// 🔴 피하세요: Effect에서 prop 변경 시 state 조정하기
useEffect(() => {
setSelection(null);
}, [items]);
// ...
}
이것 역시 이상적이지 않습니다. items
가 변경될 때마다 List
와 그 자식 컴포넌트들은 처음에는 오래된 selection
값으로 렌더링됩니다. 그런 다음 React는 DOM을 업데이트하고 Effect를 실행합니다. 마지막으로 setSelection(null)
호출은 List
와 그 자식 컴포넌트들을 다시 렌더링하여 이 전체 프로세스를 다시 시작하게 됩니다.
Effect를 삭제하는 것으로 시작하세요. 대신 렌더링 중에 직접 state를 조정하세요.
function List({ items }) {
const [isReverse, setIsReverse] = useState(false);
const [selection, setSelection] = useState(null);
// 더 좋습니다: 렌더링 중 state 조정
const [prevItems, setPrevItems] = useState(items);
if (items !== prevItems) {
setPrevItems(items);
setSelection(null);
}
// ...
}
이렇게 이전 렌더링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Effect에서 동일한 state를 업데이트하는 것보다 낫습니다. 위 예시에서는 렌더링 도중 setSelection
이 직접 호출됩니다. React는 return
문으로 종료된 후 즉시 List
를 다시 렌더링 합니다. React는 아직 List
자식을 렌더링 하거나 DOM을 업데이트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래된 selection
값의 렌더링을 건너뛸 수 있습니다.
렌더링 도중 컴포넌트를 업데이트하면 React는 반환된 JSX를 버리고 즉시 렌더링을 다시 시도합니다. 매우 느린 연속적 재시도를 피하기 위해 React는 렌더링 중에 동일한 컴포넌트의 state만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합니다. 렌더링 도중 다른 컴포넌트의 state를 업데이트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반복을 피하려면 items !== prevItems
와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이런 식으로 state를 조정할 수는 있지만 컴포넌트를 순수하게 유지하기 위해 DOM 변경이나 타임아웃 설정과 같은 다른 사이드 이펙트들은 이벤트 핸들러나 Effect에 남겨둬야 합니다.
이 패턴이 Effect보다 더 효율적이지만 대부분의 컴포넌트에는 이 패턴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든 props나 다른 state에 따라 state를 조정하면 데이터 흐름을 이해하고 디버깅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대신 key를 사용하여 모든 state를 초기화하거나 렌더링 중에 모든 state를 계산할 수 있는지 항상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선택한 item을 저장(및 초기화)하는 대신 선택한 item ID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List({ items }) {
const [isReverse, setIsReverse] = useState(false);
const [selectedId, setSelectedId] = useState(null);
// ✅ 최고예요: 렌더링 중에 모든 것을 계산
const selection = items.find(item => item.id === selectedId) ?? null;
// ...
}
이제 state를 “조정”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선택한 ID를 가진 item이 목록에 있으면 선택된 state로 유지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일치하는 item을 찾을 수 없으므로 렌더링 중에 계산된 selection
은 null
이 됩니다. 이 동작은 다르지만 대부분의 items
변경이 selection을 보존하므로 더 나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핸들러 간 로직 공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두 개의 버튼(구매 및 결제)이 있는 제품 페이지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제품을 장바구니에 넣을 때마다 알림을 표시하고 싶습니다. 두 버튼의 클릭 핸들러에서 모두 showNotification()
을 호출하는 것은 반복적으로 느껴지므로 이 로직을 Effect에 배치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function ProductPage({ product, addToCart }) {
// 🔴 피하세요: Effect 내부의 이벤트별 로직
useEffect(() => {
if (product.isInCart) {
showNotification(`Added ${product.name} to the shopping cart!`);
}
}, [product]);
function handleBuyClick() {
addToCart(product);
}
function handleCheckoutClick() {
addToCart(product);
navigateTo('/checkout');
}
// ...
}
이 Effect는 불필요합니다. 또한 버그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가 리로드 될 때마다 앱이 장바구니를 “기억”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카트에 제품을 한 번 추가하고 페이지를 새로 고치면 알림이 다시 표시됩니다. 해당 제품 페이지를 새로 고칠 때마다 알림이 계속 표시됩니다. 이는 페이지 로드 시 product.isInCart
가 이미 true
이므로 위의 Effect는 showNotification()
을 호출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코드가 Effect에 있어야 하는지 이벤트 핸들러에 있어야 하는지 확실하지 않은 경우 이 코드가 실행되어야 하는 이유를 자문해 보세요. 컴포넌트가 사용자에게 표시되었기 때문에 실행되어야 하는 코드에만 Effect를 사용하세요. 이 예시에서는 페이지가 표시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기 때문에 알림이 표시되어야 합니다! Effect를 삭제하고 공유 로직을 두 이벤트 핸들러에서 호출되는 함수에 넣으세요.
function ProductPage({ product, addToCart }) {
// ✅ 좋습니다: 이벤트 핸들러에서 이벤트별 로직이 호출됩니다.
function buyProduct() {
addToCart(product);
showNotification(`Added ${product.name} to the shopping cart!`);
}
function handleBuyClick() {
buyProduct();
}
function handleCheckoutClick() {
buyProduct();
navigateTo('/checkout');
}
// ...
}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Effect가 제거되고 버그가 수정됩니다.
POST 요청 보내기
이 Form
컴포넌트는 두 가지 종류의 POST 요청을 전송합니다. 마운트 될 때 analytics 이벤트를 보냅니다. 폼을 작성하고 Submit 버튼을 클릭하면 /api/register
엔드포인트로 POST 요청을 보냅니다.
function Form() {
const [firstName, setFirstName] = useState('');
const [lastName, setLastName] = useState('');
// ✅ 좋습니다: 컴포넌트가 표시되었으므로 이 로직이 실행되어야 합니다.
useEffect(() => {
post('/analytics/event', { eventName: 'visit_form' });
}, []);
// 🔴 피하세요: Effect 내부의 이벤트별 로직
const [jsonToSubmit, setJsonToSubmit] = useState(null);
useEffect(() => {
if (jsonToSubmit !== null) {
post('/api/register', jsonToSubmit);
}
}, [jsonToSubmit]);
function handleSubmit(e) {
e.preventDefault();
setJsonToSubmit({ firstName, lastName });
}
// ...
}
앞의 예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보겠습니다.
analytics POST 요청은 Effect에 남아 있어야 합니다. analytics 이벤트를 전송하는 _이유_는 폼이 표시되었기 때문입니다. (개발 중에는 두 번 실행되지만 이를 처리하는 방법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그러나 /api/register
POST 요청은 표시되는 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때라는 특정 시점에만 요청을 보내려고 합니다. 이 요청은 해당 특정 상호작용에서만 발생해야 합니다. 두 번째 Effect를 삭제하고 해당 POST 요청을 이벤트 핸들러로 이동합니다:
function Form() {
const [firstName, setFirstName] = useState('');
const [lastName, setLastName] = useState('');
// ✅ 좋습니다: 컴포넌트가 표시되었으므로 이 로직이 실행됩니다.
useEffect(() => {
post('/analytics/event', { eventName: 'visit_form' });
}, []);
function handleSubmit(e) {
e.preventDefault();
// ✅ 좋습니다: 이벤트별 로직은 이벤트 핸들러에 있습니다.
post('/api/register', { firstName, lastName });
}
// ...
}
어떤 로직을 이벤트 핸들러에 넣을지 Effect에 넣을지 선택할 때 사용자 관점에서 _어떤 종류의 로직인지_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합니다. 이 로직이 특정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라면 이벤트 핸들러에 두세요. 사용자가 화면에서 컴포넌트를 _보는 것_이 원인이라면 Effect에 두세요.
연쇄 계산
때때로 다른 state에 따라 각각 state를 조정하는 Effect를 체이닝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function Game() {
const [card, setCard] = useState(null);
const [goldCardCount, setGoldCardCount] = useState(0);
const [round, setRound] = useState(1);
const [isGameOver, setIsGameOver] = useState(false);
// 🔴 피하세요: 서로를 트리거하기 위해서만 state를 조정하는 Effect 체인
useEffect(() => {
if (card !== null && card.gold) {
setGoldCardCount(c => c + 1);
}
}, [card]);
useEffect(() => {
if (goldCardCount > 3) {
setRound(r => r + 1)
setGoldCardCount(0);
}
}, [goldCardCount]);
useEffect(() => {
if (round > 5) {
setIsGameOver(true);
}
}, [round]);
useEffect(() => {
alert('Good game!');
}, [isGameOver]);
function handlePlaceCard(nextCard) {
if (isGameOver) {
throw Error('Game already ended.');
} else {
setCard(nextCard);
}
}
// ...
이 코드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첫 번째 문제는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점입니다. 컴포넌트(및 그 자식)는 체인의 각 set
호출 사이에 다시 렌더링해야 합니다. 위의 예시에서 최악의 경우(setCard
→ 렌더링 → setGoldCardCount
→ 렌더링 → setRound
→ 렌더링 → setIsGameOver
→ 렌더링)에는 아래 트리의 불필요한 리렌더링이 세 번 발생합니다.
두 번째 문제는 속도가 느리지 않더라도 코드가 발전함에 따라 작성한 “체인”이 새로운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게임 이동의 기록을 단계별로 살펴볼 수 있는 방법을 추가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각 state 변수를 과거의 값으로 업데이트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card
state를 과거의 값으로 설정하면 Effect 체인이 다시 트리거되고 표시되는 데이터가 변경됩니다. 이러한 코드는 융통성이 없고 취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렌더링 중에 가능한 것을 계산하고 이벤트 핸들러에서 state를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function Game() {
const [card, setCard] = useState(null);
const [goldCardCount, setGoldCardCount] = useState(0);
const [round, setRound] = useState(1);
// ✅ 렌더링 중에 가능한 것을 계산합니다.
const isGameOver = round > 5;
function handlePlaceCard(nextCard) {
if (isGameOver) {
throw Error('Game already ended.');
}
// ✅ 이벤트 핸들러에서 다음 state를 모두 계산합니다.
setCard(nextCard);
if (nextCard.gold) {
if (goldCardCount <= 3) {
setGoldCardCount(goldCardCount + 1);
} else {
setGoldCardCount(0);
setRound(round + 1);
if (round === 5) {
alert('Good game!');
}
}
}
}
// ...
훨씬 더 효율적입니다. 또한 게임 기록을 볼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면 이제 다른 모든 값을 조정하는 Effect 체인을 트리거 하지 않고도 각 state 변수를 과거의 행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러 이벤트 핸들러 간에 로직을 재사용해야 하는 경우 함수를 추출하여 해당 핸들러에서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핸들러 내부에서 state는 스냅샷처럼 동작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예를 들어 setRound(round + 1)
를 호출한 후에도 round
변수는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한 시점의 값을 반영합니다. 계산에 다음 값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const nextRound = round + 1
처럼 수동으로 정의하세요.
이벤트 핸들러에서 직접 다음 state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드롭 다운이 있는 폼에서 다음 드롭 다운의 옵션이 이전 드롭 다운의 선택된 값에 따라 달라진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네트워크와 동기화하기 때문에 Effect 체인이 적절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초기화
일부 로직은 앱이 로드될 때 한 번만 실행되어야 합니다.
그것을 최상위 컴포넌트의 Effect에 배치하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function App() {
// 🔴 피하세요: 한 번만 실행되어야 하는 로직이 포함된 Effect
useEffect(() => {
loadDataFromLocalStorage();
checkAuthToken();
}, []);
// ...
}
하지만 이 함수가 개발 중에 두 번 실행된다는 사실을 금방 알게 될 것입니다. 함수가 두 번 호출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증 토큰이 무효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컴포넌트는 다시 마운트 할 때 탄력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는 최상위 App
컴포넌트가 포함됩니다.
프로덕션 환경에서 실제로 다시 마운트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모든 컴포넌트에서 동일한 제약 조건을 따르면 코드를 이동하고 재사용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일부 로직이 컴포넌트 마운트당 한 번이 아니라 앱 로드당 한 번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 최상위 변수를 추가하여 이미 실행되었는지를 추적하세요.
let didInit = false;
function App() {
useEffect(() => {
if (!didInit) {
didInit = true;
// ✅ 앱 로드당 한 번만 실행
loadDataFromLocalStorage();
checkAuthToken();
}
}, []);
// ...
}
모듈 초기화 중이나 앱이 렌더링 되기 전에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if (typeof window !== 'undefined') { // 브라우저에서 실행 중인지 확인합니다.
// ✅ 앱 로드당 한 번만 실행
checkAuthToken();
loadDataFromLocalStorage();
}
function App() {
// ...
}
컴포넌트를 import 할 때 최상위 레벨의 코드는 렌더링 되지 않더라도 한 번 실행됩니다. 임의의 컴포넌트를 import 할 때 속도 저하나 예상치 못한 동작을 방지하려면 이 패턴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마세요. app 전체 초기화 로직은 App.js
와 같은 루트 컴포넌트 모듈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엔트리 포인트에 두세요.
state 변경을 부모 컴포넌트에게 알리기
true
또는 false
가 될 수 있는 내부 isOn
state를 가진 Toggle
컴포넌트를 작성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클릭 또는 드래그를 통해 토글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Toggle
내부 state가 변경될 때마다 부모 컴포넌트에 알리고 싶을 때 onChange
이벤트를 노출하고 Effect에서 호출합니다.
function Toggle({ onChange }) {
const [isOn, setIsOn] = useState(false);
// 🔴 피하세요: onChange 핸들러가 너무 늦게 실행됨
useEffect(() => {
onChange(isOn);
}, [isOn, onChange])
function handleClick() {
setIsOn(!isOn);
}
function handleDragEnd(e) {
if (isCloserToRightEdge(e)) {
setIsOn(true);
} else {
setIsOn(false);
}
}
// ...
}
앞서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이상적이지 않습니다. Toggle
이 먼저 state를 업데이트하고 React가 화면을 업데이트합니다. 그런 다음 React는 Effect를 실행하고 부모 컴포넌트에서 전달된 onChange
함수를 호출합니다. 이제 부모 컴포넌트는 자신의 state를 업데이트하고 다른 렌더링 패스를 시작합니다. 모든 것을 한 번의 패스로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Effect를 삭제하고 대신 동일한 이벤트 핸들러 내에서 두 컴포넌트의 state를 업데이트합니다.
function Toggle({ onChange }) {
const [isOn, setIsOn] = useState(false);
function updateToggle(nextIsOn) {
// ✅ 좋습니다: 업데이트를 유발한 이벤트가 발생한 동안 모든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
setIsOn(nextIsOn);
onChange(nextIsOn);
}
function handleClick() {
updateToggle(!isOn);
}
function handleDragEnd(e) {
if (isCloserToRightEdge(e)) {
updateToggle(true);
} else {
updateToggle(false);
}
}
// ...
}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Toggle
컴포넌트와 그 부모 컴포넌트 모두 이벤트가 진행되는 동안 state를 업데이트 합니다. React는 서로 다른 컴포넌트의 업데이트를 일괄 처리하므로 렌더링 패스는 한 번만 발생합니다.
state를 완전히 제거하고 대신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isOn
을 수신할 수도 있습니다.
// ✅ 이것도 좋습니다: 컴포넌트는 부모에 의해 완전히 제어됩니다.
function Toggle({ isOn, onChange }) {
function handleClick() {
onChange(!isOn);
}
function handleDragEnd(e) {
if (isCloserToRightEdge(e)) {
onChange(true);
} else {
onChange(false);
}
}
// ...
}
”state 끌어올리기”는 부모 컴포넌트가 부모 자체의 state를 토글 하여 Toggle
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게 해줍니다. 즉, 부모 컴포넌트에 더 많은 로직을 포함해야 하지만 전체적으로 걱정해야 할 state는 줄어듭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state 변수를 동기화하려고 할 때마다 대신 state 끌어올리기를 사용해 보세요!
부모에게 데이터 전달하기
이 Child
컴포넌트는 일부 데이터를 가져온 다음 Effect에서 Parent
컴포넌트에 전달합니다.
function Parent() {
const [data, setData] = useState(null);
// ...
return <Child onFetched={setData} />;
}
function Child({ onFetched }) {
const data = useSomeAPI();
// 🔴 피하세요: Effect에서 부모에게 데이터 전달하기
useEffect(() => {
if (data) {
onFetched(data);
}
}, [onFetched, data]);
// ...
}
React에서 데이터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흐릅니다. 화면에 뭔가 잘못된 것이 보이면 컴포넌트 체인을 따라 올라가서 어떤 컴포넌트가 잘못된 prop을 전달하거나 잘못된 state를 가지고 있는지 찾아내면 정보의 출처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자식 컴포넌트가 Effect에서 부모 컴포넌트의 state를 업데이트하면 데이터 흐름을 추적하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자식과 부모 모두 동일한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부모 컴포넌트가 해당 데이터를 가져와서 자식에게 대신 내려주도록 하세요.
function Parent() {
const data = useSomeAPI();
// ...
// ✅ 좋습니다: 자식에게 데이터 전달하기
return <Child data={data} />;
}
function Child({ data }) {
// ...
}
이렇게 하면 데이터가 부모에서 자식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데이터 흐름이 더 간단하고 예측 가능하게 유지됩니다.
외부 저장소 구독하기
때로는 컴포넌트가 React state 외부의 일부 데이터를 구독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또는 내장 브라우저 API에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React가 모르는 사이에 변경될 수 있으므로 컴포넌트를 수동으로 구독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종종 Effect를 통해 수행됩니다. 다음은 예시입니다.
function useOnlineStatus() {
// 이상적이지 않습니다: Effect에서 저장소를 수동으로 구독
const [isOnline, setIsOnline] = useState(true);
useEffect(() => {
function updateState() {
setIsOnline(navigator.onLine);
}
updateState();
window.addEventListener('online', updateState);
window.addEventListener('offline', updateState);
return () => {
window.removeEventListener('online', updateState);
window.removeEventListener('offline', updateState);
};
}, []);
return isOnline;
}
function ChatIndicator() {
const isOnline = useOnlineStatus();
// ...
}
여기서 컴포넌트는 외부 데이터 저장소(이 경우 브라우저 navigator.onLine
API)를 구독합니다. 이 API는 서버에 존재하지 않으므로(초기 HTML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처음 state는 true
로 설정됩니다. 브라우저에서 해당 데이터 저장소의 값이 변경될 때마다 컴포넌트는 해당 state를 업데이트합니다.
이를 위해 Effect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React에는 외부 저장소를 구독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Hook이 있습니다. Effect를 삭제하고 useSyncExternalStore
에 대한 호출로 대체합니다.
function subscribe(callback) {
window.addEventListener('online', callback);
window.addEventListener('offline', callback);
return () => {
window.removeEventListener('online', callback);
window.removeEventListener('offline', callback);
};
}
function useOnlineStatus() {
// ✅ 좋습니다: 내장 Hook으로 외부 스토어 구독하기
return useSyncExternalStore(
subscribe, // 동일한 함수를 전달하는 한 React는 다시 구독하지 않습니다.
() => navigator.onLine, // 클라이언트에서 값을 얻는 방법
() => true // 서버에서 값을 얻는 방법
);
}
function ChatIndicator() {
const isOnline = useOnlineStatus();
// ...
}
이 접근 방식은 변경 가능한 데이터를 Effect를 사용해 React state에 수동으로 동기화하는 것보다 에러가 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위의 useOnlineStatus()
와 같은 사용자 정의 Hook을 작성하여 개별 컴포넌트에서 이 코드를 반복할 필요가 없도록 합니다. React 컴포넌트에서 외부 store를 구독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읽어보세요.
데이터 가져오기
많은 앱이 데이터 가져오기를 시작하기 위해 Effect를 사용합니다. 이와 같은 데이터를 가져오는 Effect를 작성하는 것은 매우 일반적입니다.
function SearchResults({ query }) {
const [results, setResults] = useState([]);
const [page, setPage] = useState(1);
useEffect(() => {
// 🔴 피하세요: 정리 로직 없이 가져오기
fetchResults(query, page).then(json => {
setResults(json);
});
}, [query, page]);
function handleNextPageClick() {
setPage(page + 1);
}
// ...
}
데이터 가져오기를 이벤트 핸들러로 옮길 필요는 없습니다.
이벤트 핸들러에 로직을 넣어야 했던 앞선 예시와 모순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가져오기를 해야 하는 주된 이유가 입력 이벤트가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세요. 검색 입력은 URL에서 미리 채워지는 경우가 많으며 사용자는 입력을 건드리지 않고 뒤로 앞으로 탐색할 수도 있습니다.
page
와 query
의 출처가 어디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 컴포넌트가 표시되는 동안에는 현재 page
및 query
에 대한 네트워크의 데이터와 results
를 동기화하고 싶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Effect의 이유입니다.
하지만 위의 코드에는 버그가 있습니다. "hello"
를 빠르게 입력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query
가 "h"
에서 "he"
, "hel"
, "hell"
, "hello"
로 바뀝니다. 이렇게 하면 별도의 데이터 가져오기가 시작되지만 응답이 어떤 순서로 도착할지는 보장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hello"
응답 후에 "hell"
응답이 도착할 수 있습니다. setResults()
를 마지막으로 호출하므로 잘못된 검색 결과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를 “경쟁 조건”이라고 하는데, 서로 다른 두 요청이 서로 “경쟁”하여 예상과 다른 순서로 도착하는 것을 말합니다.
경쟁 조건을 수정하려면 오래된 응답을 무시하는 정리 함수를 추가해야 합니다.
function SearchResults({ query }) {
const [results, setResults] = useState([]);
const [page, setPage] = useState(1);
useEffect(() => {
let ignore = false;
fetchResults(query, page).then(json => {
if (!ignore) {
setResults(json);
}
});
return () => {
ignore = true;
};
}, [query, page]);
function handleNextPageClick() {
setPage(page + 1);
}
// ...
}
이렇게 하면 Effect가 데이터를 가져올 때 마지막으로 요청된 응답을 제외한 모든 응답이 무시됩니다.
데이터 가져오기를 구현할 때 경쟁 조건을 처리하는 것만이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응답 캐싱(사용자가 뒤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여 이전 화면을 즉시 볼 수 있도록),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초기 서버 렌더링 HTML에 스피너 대신 가져온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네트워크 워터폴을 피하는 방법(자식이 모든 부모를 기다리지 않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도록)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React뿐만 아니라 모든 UI 라이브러리에 적용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기 때문에 모던 프레임워크는 Effect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내장 데이터 가져오기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그리고 직접 빌드하고 싶지 않고) Effect에서 데이터를 보다 인체공학적으로 가져오고 싶다면 이 예시처럼 가져오기 로직을 사용자 정의 Hook으로 추출하는 것을 고려하세요.
function SearchResults({ query }) {
const [page, setPage] = useState(1);
const params = new URLSearchParams({ query, page });
const results = useData(`/api/search?${params}`);
function handleNextPageClick() {
setPage(page + 1);
}
// ...
}
function useData(url) {
const [data, setData] = useState(null);
useEffect(() => {
let ignore = false;
fetch(url)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json => {
if (!ignore) {
setData(json);
}
});
return () => {
ignore = true;
};
}, [url]);
return data;
}
또한 에러 처리와 콘텐츠 로딩 여부를 추적하기 위한 로직을 추가하고 싶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Hook을 직접 빌드하거나 React 에코시스템에서 이미 사용 가능한 많은 솔루션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만으로는 프레임워크에 내장된 데이터 가져오기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만큼 효율적이지는 않지만, 데이터 가져오기 로직을 사용자 정의 Hook으로 옮기면 나중에 효율적인 데이터 가져오기 전략을 취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일반적으로 Effect를 작성해야 할 때마다 위의 useData
와 같이 보다 선언적이고 목적에 맞게 구축된 API를 사용하여 일부 기능을 커스텀 Hook으로 추출할 수 있는 경우를 주시하세요. 컴포넌트에서 원시 useEffect
호출이 적을수록 애플리케이션을 유지 관리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요약
- 렌더링 중에 무언가를 계산할 수 있다면 Effect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비용이 많이 드는 계산을 캐시하려면
useEffect
대신useMemo
를 추가하세요. - 전체 컴포넌트 트리의 state를 초기화하려면 다른
key
를 전달하세요. - prop 변경에 대한 응답으로 특정 state bit를 초기화하려면 렌더링 중에 설정하세요.
- 컴포넌트가 표시되어 실행되는 코드는 Effect에 있어야 하고 나머지는 이벤트에 있어야 합니다.
- 여러 컴포넌트의 state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 단일 이벤트 중에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다른 컴포넌트의 state 변수를 동기화하려고 할 때마다 state 끌어올리기를 고려하세요.
- Effect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지만 경쟁 조건을 피하기 위해 정리를 구현해야 합니다.
챌린지 1 of 4: Effect 없이 데이터 변환하기
아래의 todos 목록에 TodoList
가 표시됩니다. “Show only active todos”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완료된 todos는 목록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표시되는 todos와 관계없이 footer에는 아직 완료되지 않은 todos의 수가 표시됩니다.
불필요한 state와 Effect를 모두 제거하여 이 컴포넌트를 단순화하세요.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initialTodos, createTodo } from './todos.js'; export default function TodoList() { const [todos, setTodos] = useState(initialTodos); const [showActive, setShowActive] = useState(false); const [activeTodos, setActiveTodos] = useState([]); const [visibleTodos, setVisibleTodos] = useState([]); const [footer, setFooter] = useState(null); useEffect(() => { setActiveTodos(todos.filter(todo => !todo.completed)); }, [todos]); useEffect(() => { setVisibleTodos(showActive ? activeTodos : todos); }, [showActive, todos, activeTodos]); useEffect(() => { setFooter( <footer> {activeTodos.length} todos left </footer> ); }, [activeTodos]); return ( <> <label> <input type="checkbox" checked={showActive} onChange={e => setShowActive(e.target.checked)} /> Show only active todos </label> <NewTodo onAdd={newTodo => setTodos([...todos, newTodo])} /> <ul> {visibleTodos.map(todo => ( <li key={todo.id}> {todo.completed ? <s>{todo.text}</s> : todo.text} </li> ))} </ul> {footer} </> ); } function NewTodo({ onAdd }) { const [text, setText] = useState(''); function handleAddClick() { setText(''); onAdd(createTodo(text)); } return ( <> <input value={text} onChange={e => setText(e.target.value)} /> <button onClick={handleAddClick}> Add </button> </> ); }